UDP의 헤더는 필드가 4개 밖에 없다.
src port, dest port, length(segment의 데이터 길이), check sum
app나 transport 계층에서는 실제 네트워크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몰랐다. 데이터를 어떻게 전달할 지 network 계층부터 알아낼 수 있다.
라우터가 하는 일…
패킷 헤더에 적혀있는 목적지를 보고, 해당 패킷을 목적지까지 보내야한다.
라우터 내부에는 다음 보낼 수 있는 라우터의 목록이 있다. 이 패킷을 어디에 보낼 지 결정하는 것이 포워딩이다**.**
time to live → 라우터를 거칠 때 마다 1씩 감소한다. 0이 되는 순간 그 패킷은 버려진다. 무한루프를 방지하기 위한 필드
upper layer → 데이터가 tcp인지, udp인지 구분한다.
16-bit identify → MTU보다 큰 패킷이 들어오면 처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분할해서 별개의 패킷으로 만들어 전송한다. 쪼갰다면 identify는 그대로 유지하되 fragflag를 1로 만들고, 다음 쪼갠 패킷의 offset bit를 설정한다. 쪼갠 패킷의 마지막이라면 fragflag는 0이 된다.